한국화를 통하여 우리나라 문화와 민족의 정체성을 추구하며 고유의 전통적인 소재를
화제로 택해 현대화-대중화 시켜 사람들에게 편안하게 다가 가고 있는 조성용작가의
작품세계는 한마디로 "과거와 현재,그리고 미래와의 소통"이라 할 수 있다
재료는 단청 안료를 사용하며 캔버스 대신 코르크판에 먹이 스며드는 효과를 이용하여
전면에 사실적으로 배경엔 추상적인 이원적인 배치를 통하여 작가는 현실과 이상을
표현하려 한다
<작가노트>
민간부터 귀족까지 순수하고 소박한 아름다움과 매우 화려하고 귀족적인 아름다움까지
대단한 미의식을 가졌던 것이 우리 민족이라고 본다.
이처럼 우리의 문화는 음양오행 사상에 기반하여 우리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음귀를 몰아내기 위해 혼례 때 신부가 연지곤지를 바르는 것,
나쁜 기운을 막고 무병장수를 기원해 돌이나 명절에 어린 아이에게 색동 저고리를 입히는 것,
간장 항아리에 붉은 고추를 끼워 금줄을 두르는 것,
잔치 상의 국수에 올리는 오색 고명, 붉은 빛이 나는 황토로 집을 짓거나
신년에 붉은 부적을 그려 붙이는 것,
궁궐ㆍ사찰 등의 단청, 고구려의 고분벽화나 조각보 등의 공예품에서
그 사상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내 그림은 늘 이런 생각과 의미에 기초를 두고 고민 하면서,우리역사를 새겨
나의 그림을 이야기 하고자 한다.
그것이 오랜 역사에 녹아 흘러 내려 오면서 우리들의 마음에 새겨진 미의식이고
인간의 삶이라 본다.
그래서 나의 작업은 현재의 눈과 마음으로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고 마음으로 느껴
재구성해서 새로운 이미지로 창출하는 것이다.
소박하고 순수하면서도 화려하고 원색적이지만 천박해 보이지 않는 색의 구성,
조형의 아름다움 또 아름다운 곡선을 구사하여 우아함을 자아내는 우리의 문화는
자연과 흡사 닮아지는 모습 - 바로 그것이 우리의 조형미인 것이다.
사랑과 꿈 *(45cm x 60cm 약12호) 코르크판에 혼합재료
조성용
백로의 생각 *(45cm x 60cm 약12호) 코르크판에 혼합재료
조성용
수련 *(45cm x 60cm 약12호) 코르크판에 혼합재료 2010
조성용
수련 *(45cm x 60cm 약12호) 코르크판에 혼합재료 2010
조성용
龍頭(용두) *(45cm x 60cm 약12호) 코르크판에 혼합재료 2011
조성용
풍경 *(45cm x 60cm 약12호) 코르크판에 혼합재료 2011
조성용
?尾(치미) *(60cm x 45cm 약12호) 코르크판에 혼합재료 2011
조성용
望瓦(망와) *(45cm x 60cm 약12호) 코르크판에 혼합재료 2010
조성용
담 *(45cm x 60cm 약12호) 코르크판에 혼합재료 2010
조성용
잉어머리 토수 *(45cm x 60cm 약12호) 코르크판에 혼합재료 2010
조성용
조성용 趙 盛 勇(Cho,Sung-Yong)
[출생]
충남 서천출생(1960년)
[학력]
2003 중국 로신미술대학원졸업
[전시회]
1996 개인전(코스모스 갤러리)
2002 개인전(로신미술대학 대학원 작업실)
2005 개인전(청계아트센타)
2009 개인전(봄갤러리 초대전)
2009 개인전(순풍갤러리)
2010 개인전(봄갤러리 초대전)
2011 개인전(봄갤러리 초대전)
2004 중국상하이아트페어
2009 서울오픈아트페어
2010 대구아트페어(대구무역센타)
2011 한중아트페어((중국정주문화예술회관)
1999 세계미술협회공모전제2회최우수상(공평)
2001 제1회신세대서화작품전입선(중국로신대학미술관)
2001 봉상배서화전특별상(중국요녕성미술관)
2009 ICAA전(조선일보미술관)
2010한일미술문화교류전(일본武藏野市문화관) 外200여회
성신여대, 관동대학교, 한양여대 강사역임
한국미협,하남,강동미협,세계미술협회원
출처[(주)포털아트(www.porart.c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