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 품 명 : | 귀항 |
작품규격 : | 변형12호(30.3cm x 60.6cm) |
재 료 : | 캔버스에 유채 |
창작년도 : | 2008 |
작 가 명 : | 차일만(88' 미국 국회 문화상 수상) |
빛을 통해 자연이 지닌 아름다움과 그 속에 깃든 경이로운 내적 생명의 힘을 가진 작가. 독자적인 화풍으로 펼쳐내고 있는 작가로서 개성 넘치는 작업을 통해 대중의 공감을 이끌어내며 자신만의 독자적인 세계를 구축하고 작가 자신이 보는 가장 아름다운 풍경을 빛을 잃어버린 사람들에게 빛을 찾아주기 위해 어느 곳에 있는지 빛을 담는데 여념이 없다. 찬란한 햇살과 차가운 월광 그리고 은은한 별빛이 비추는 세상 풍경을 실사 보다 아름답고 화려하게 표현한 화풍으로 미술품 애호가들로부터 ″19~20세기의 ´빛의 화가´가 끌로드 모네(1840-1926)였다면 21세기의 빛의 화가는 차일만″이란 격찬까지 듣고 있다. 결코 풍요롭지만은 않은 영광과 분주함 속에서도 작품 활동의 표현적 자유와 자신감으로 물리적인 빛을 통한 자연과 대상을 새롭게 발견한다. 그리고 90년대 말 내면의 혼과 결합하는 영적 작품세계를 이어가며 2000년대 작가로서의 예술적 사명감으로 점철된 편린과 흔적을 통해 내면의 빛의 표현을 재삼 발견하기에 이른다. 자신을 되돌아보며 자신의 내면세계의 혼탁한 모든 것들을 덜어내고 깊숙한 영적 세계에 흐르는 전류를 드러내며 바다를 청색도 녹색도 아닌 형용할 수 없는 에메랄드 색을 쓰게 되면서 화가가 평생을 찾아 헤매던 내면의 빛-심광(心光)을 비추게 된 것이다. |
[작가노트] 차일만 작가는 빛을 통해 자연이 지닌 아름다움과 그 속에 깃든 경이로운 내적 생명의 힘을 독자적인 화풍으로 펼쳐내고 있는 작가로서, 제 1회 국제미술작가상(PTP 세계본부), 미국국회 문화상을 수상하는 등 해외에서 그 실력을 인정받으며 문화대사로도 활발히 활동하였고, 14년간 일본 유명화랑의 전속작가로 활동하며 일본 미술계에서도 큰 반향을 불러일으켜 왔다. [평론] 바다는 파란색이라는 고정된 인식 가운데 파란색 물감으로 바다를 그리던 어느날, '나는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이미 자신만의 회화세계를 확립한 화가에게 고갱의 유서작의 명제기도 했던 이 철학적 물음은 렘브란트가 그랬던 것과 같이 자신을 되돌아 보며 자신의 내면세계의 혼탁한 모든 것들을 덜어내고 비움으로써 담아내게 되는 깊숙한 영적세계에 흐르는 전류를 드러내게한다. 자신의 욕심과 탐욕을 비우면서, 내면을 정화시키기 시작하면서 어느순간...바다를 있는 그대로의 색이 아닌 청색도 녹색도 아닌 형용 할 수 없는 에메랄드 색을 쓰게 된다. 바로 화가가 평생을 찾아 해매던 내면의 빛-심광(心光)을 비추게 된 것이다. 인물의 얼굴에 집중되어 있는 렘브란트의 자화상, 그의 눈동자와 입술의 형상에 녹아있는 두려움과 슬품의 감정은 인물의 의상과 장신구를 통해 사회적 지위와 권력을 그림 안에 녹여내었던 이전의 화려한 빛을 버리고서야 비로써 얻게 된것이다. 이와같이, 화가 차일만은 끊임없이 자신 안에 내재된 혼탁한 것들을 비워내고 또 비워내며 자신을 돌아본 끝에 이 세상 어떠한 물감으로도 표현할 수 없는 자신만의 심광(心光)을 표현할 수 있게 된것이다. 화가는 자신의 회화 안에서 자연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하는데 그치지 않는다. 그에게 있어 눈앞에 보여지는 실상은 그저 그 광경 내에 스민 진정한 실체의 그림자일 뿐이다. 캄캄한 어둠 속의 바다를 고요히 비추고 있는 등대...화가가 그림이라는 배를 타고 가면서 떨어뜨려 놓은 크고 작은 편린들... 한 청년화가의 밤을 지켜주던 흐린전구의 희미한 빛, 절망 끝에서 얻은 새로운 삶의 희망, 앞을 보지 못하는 장님부부의 눈에 비췬 한줄기 빛, 그러한 모든것 안에서 비우고 비워낸 끝에 어둠을 뚫고 나온 예술의 궁극을 향한 범접하기 어려운 심광이 서려있다. |
출처[포털아트]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