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아트를 통해 새로운 작품을 선보이게 된 김행령교수를 소개합니다
원광대에서 제자들을 가르치며 보석과 공예예술의 도시 익산에서 작품활동을 하고 있는
김행령 교수의 신작들을 소개하여 드립니다.
김행령 교수의 작품은 세가지 스타일의 개성있는 작업으로 나누어 집니다
국내는 물론 전세계적으로도 유일하게 제작하는 아크릴 작업으로 고도의 테크닉이 필요한
누구라도 흉내내기 어려운 아크릴 이라는 재료를 이용하여 아크릴 뒷면에 무수히 많은
타공기법을 내어 조각하듯이 나타내고자 하는 형상을
세밀하고 빈틈없게 문양을 표현하고 세련된 현대적인 느낌의 아크릴 물감을 뒷면에
기술적으로 넣어 채색한 작업과 동,주석, 보석등을 이용하여 우리들 마음의 정서를
한 껏 만끽할 수 있는 따뜻한 금속공예로서, 재료의 성질과 매력, 다양한 특징을
작품에서 느껴 볼 수 있는 그림이 실린 금속공예 작업입니다
그리고 또 하나는 1000도의 가마속에서 유리질화 되어 탄생하는 영원성의 작품 - 즉 보석작품 같은
"칠보와 회화의 만남"이라는 아름다운 칠보작품으로 나누어 집니다
기운생동하는 꽃과 풍경등을 전하는 감성을 캔버스가 아닌 아크릴,칠보,금속등에 회화적
사실성에 근거하여 접목 시킨다는 것은 무척 어려운 작업이고 작가의 오랜 각고의 노력과
수많은 실패와 시행착오등, 역경을 헤쳐가며 이루어낸 값진 예술 창작품으로
많은 애호가분들의 격려와 성원을 기대합니다
▒▒ 작가 노트 ▒▒
금속의 단조와 열풀림을 통해 어떨땐 단단해지고 부드러워지는 재료는 늘 첫사랑의 기억처럼 설레임과
밉살 맞음으로 다가오고 때로는 강렬하지만 부드럽고 섬세함으로 다가 왔다가 깨달음을 주고 한층
더 성숙한 내 자신을 발전하게 한 스승과도 같은 존재이다.
나의 작업은 다만 금속,비금속 공예의 한 장르와 그림일뿐 진짜 작품은 늘 나의 가슴속에
있게 하는 이유일 것이리라...
작업은 늘 호기심으로부터 비롯되었다.
정형화되어 틀에 박히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며, 일상 늘 보아왔으며 늘 감지하고 있는 서정적인 상징화며
기능미를 넘어 기하학적 형태미 위에 회화적인 단위로서 평면성과 입체성을 부가하여 서정적 소재를 담아내면서
여기에 아주 개인적 주관과 감성이 작품을 만들어 낸다.
석공이 그러하듯 필요 없는 부분을 큰 망치와 정으로 떼어 내고 또 떼어 내어 작품을 완성시키듯 인생의 군더더기를
떼어 나가는 삶이 작가적인 삶인 것처럼 작품을 만들면서 쏟아 부은 시간과 정성은 마음의 몸짓이다.
내 작품에 머무는 시선들 앞에서 내 마음 한 조각을 나누고자 한다.
[ Acrylic painting on Acrylic 작품에 대하여..... ]
아크릴 페인팅 작품는 고도의 숙련과 테크닉이 필요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일반 회화 작품의 완성 과정과 비교되기 때문이라 할 수 있겠는데 회화작품은 그림 위에 덧 칠을 할 수 있지만
이번 아크릴페인팅 작품의 특색은 뒷면에서 타공을 하여 채색을 하여야 되므로
미리 작품 완성이 머리 속에 있어야 하고 재료의 특성을 이해하고 잘 다룰수 있는 완성도 높은 테크닉도 겸비해야 된다는 것이다.
작품형상이 보여지는 것은 앞면에서 만 보일수 있기 때문이며 아크릴에 드릴릴 기법과 금속 삽입 과정이 난해하다는 점이다
금속 온도가 1000c 정도 이므로 채색과 아크릴에 변화가 있고, 이러한 작업으로 인해서 작업 숙련도가 수십년이상
축적이 되어야만 가능한 작업이라 하겠다.
아크릴 작업은 아크릴과 금속 회화가 결합된 고도의 테크닉컬한 작업인 동시에 기하학적 형태미위에 평면성과 입체성을
강조한 작품이라 하겠다.
無題 *(16cm x 16cm) Acrylic painting on Acrylic 2011
김행령(금속공예와 회화의 만남)
無題 *(15cm x 18cm) 동판에 칠보 2012
김행령(금속공예와 회화의 만남)
꽃과 화병 *(20cm x 20cm) 동판에 칠보 2012
김행령(금속공예와 회화의 만남)
꽃과 화병 *(20cm x 20cm) 동판에 칠보 2012
김행령(금속공예와 회화의 만남)
천년 고목 *(17cm x 21cm) 동판에 칠보 2012
김행령(금속공예와 회화의 만남)
無題 *(11.5cm x 10.5cm) Acrylic painting on Acrylic 2011
김행령(금속공예와 회화의 만남)
Green Mountain *(20cm x 20cm 약2호) 동판에 칠보 2012
김행령(금속공예와 회화의 만남)
여름날의 추억 *(31.5cm x 32cm) 적동,황동,칠보,주석,아케이트,스테인레스망,나무 2009
김행령(금속공예와 회화의 만남)
섬 이야기 *(19cm x 14cm) 동판에 칠보 2012
김행령(금속공예와 회화의 만남)
無題 *(16cm x 16cm) Acrylic painting on Acrylic 2011
김행령(금속공예와 회화의 만남)
김행령
[학력]
원광대학교 미술대학 금속공예학과 졸업
원광대학교 산업대학원 졸업
원광대학교 귀금속공예과 박사
[현재]
원광대학교 교수
빙 금속연구실 대표
원광귀금속공예가회 회원
[수상경력]
2011 전라북도미술대전 대상
2010 한국공예대전 전국대전 특별상
2010 전북미술대전 특선
2009 한국전통공예대전 전국대전 대상
2009 전북미술대전 특선
2008 전북미술대전 특선
2007 전북미술대전 특선
2005 전북미술대전 특선
2004 전북 공예대전 장려상
2003 전북 미술대전 입상
2001 전북 미술대전 입상
전국 귀금속공예대전 입상
온고을 공예대전 특별상
2000 전북 미술대전 입상
한국 공예대전 입상
1999 전국 귀금속디자인 공모전 특선
전북 공예품경진대회 입상
전국 공예품경진대회 특선
1998 전북 미술대전 특선
1997 전북 공예품경진대회 특선
전북 미술대전 특선
1996 전북 미술대전 입상
전북 공예품경진대회 특선
전국 귀금속디자인 공모전 특선
1995 전북 미술대전 입상
전북 공예품경진대회 동상
전국 공예품경진대회 입상
1994 전북 미술대전 입상
[개인전]
2012 한가람 미술관 개인 부스전
2010 김행령 쥬얼리초대전 (W갤러리.익산)
2010 발상의 전환 (W갤러리.익산)
2009 발상의 전환 (갤러리 각,서울)
2008 행령(솜리문화예술관, 익산)
[초대전 및 단체전]
원광귀금속공예가회전 1~4회
뉴질랜드 교수전
전주공예품전시관 개관기념 초대전
[출강경력]
2001~2006 원광보건대학교 귀금속학과 출강
2001~2005 우석대학교 산업디자인과 겸임교수
2002~2005 원광대학교 귀금속공예과 출강
2006~2008 한국재활복지대 귀금속디자인과 출강
2008~2011 원광대학교 귀금속보석디자인과 겸임교수
출처[(주)포털아트(www.porart.c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