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3월 30일 금요일

[작가소개] 2000년 10월호 미술세계 표지작가 - 신범승 화백

둘이면서 하나이고 하나이면서 둘인 자연의 세계



- 신범승 교수의 '한국산하 명소전' 에 붙이는 화론















필자가 신교수의 개인전 카탈로그에 첫 글을 쓰게 된 것은 십여 년 전(1988)이었다.

그때만 하더라도 그의 작품들은 화려하고 현란한 그의 개인기에도 불구하고 그 추구하는 세계가 구심점으로부터 흩어져 있다는 느낌이었다. 색조도 그러하거니와 다루는 주제도 무엇이든 닥치는 대로라고 표현해도 될 만큼 비절제적이고 의욕적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필자는 그때 신교수의 작품들을 총체적으로 평하여 '불의 요리법'이 라는 말로 그가 추구하는 문제의식의 요체를 규명하려고 했다. 말하자면 그가 만들어낸 작품 그 자체를 이야기하기 보다는 그가 어떤비법을 지녔기에 그토록 못 그리는 소재가 없이 닥치는 대로 그려내는가 라는 일종의 솜씨론과 그 비법에 초점을 맞추었던 것이다.



물론 이런 시각은 그가 자신의 그림그리기를 '조임(다져짐)과 풀음(유유함)'이라고 표현했던 것에 근거한 것 이기도 하다.

그런데 이 말은 마치 일류 요리사가 그렇듯이 그 어떤 재료이든 자신의 손에 닿기만 하면 마치 알라딘의 램프에서 무엇이든 원하는 것들이 쏟아져 나오듯이 그림이 된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렇게 다재다능한 솜씨를 우리는 엣부터 '내림'이라고 그런다. '내림굿', 혹은 '내림그림'이라는 말이 있듯이 신교수의 그림은 본질적으로 신기에 근거한다고 나는 그때 판단했던 것이다.

물론 그 판단은 지금도 변함이 없으나, 그로부터 10여년이 흐르는 동안 그의 그림은 구체적으로나 색의 조정에 있어서 그 초기의 비절제에서부터 절제로, 혹은 산만하게 헤엄치는 물고기들이 하나의 덫으로 향해 꼼짝없이 모여들듯이 그 나름의 통일된 세계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예컨대 초기의 그림들에는 인물, 정물, 누드, 풍경들이 묘하게 뒤섞이거나, 혹은 '도자기장수','투계','낙토' 시리즈에서처럼, 풍속적인 성향을 띤 그림들이 혼재되기도 한다.

따라서 우리가 그의 작품을 근거로 서구적이든 한국적이든 어떤 인문학적인 담론을 전개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던 것이 사실이었다. 물론 그의 작품을 평가하는 비평가의 입장에 따라서는 '도자기장수'나 '투계'와 같은 작품을 근거로 풍속주의를 논의할 수도 있다는 점을 부정할 수는 없는 일이다....(중략)...




신교수의 작품세계를 이야기하기 위해 풍경화론을 장황하게 늘어놓게 되는 것은 오늘의 우리시대가 실은 다시 풍경화시대로 돌아온다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자연환경에 민감한 시대이기 때문이다.

아름다운 풍경에 대한 동경은 단순히 도피주의 사상의 산물이 아니라, 실은 원형회귀를 갈구하고 있다.

신교수가 남한강이나 임진강, 혹은 백운계곡과 같은 풍경을 시리즈 형식으로 그리는가 하면 솟대나 성황수,비무장지대와 같은 풍물을 좇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특히 '남한강 시리즈'는 송대의 화가들이 적벽을 찾아 유람하는 것을 명예로운 것으로 여겼듯이 그는 남한강의 여기저기 명소들을 샅샅이 그려내는 것을 더 없는 보람으로 여기고 있다.

하지만 신교수의 작품세계를 이렇게 평면적으로만 설명하는 것은 바람직스럽지 않다. 서두에서 언급했듯이 그의 붓질은 마치 사나운 들소를 길들이는 로데오 경기처럼 결코 만만치가 않기 때문이다.

얌전하고 꼼꼼하게 잘 걷는가 했더니 갑자기 공중으로 뛰쳐오르거나 번개처럼 날아가듯 달리기도 한다.

그러기 때문에 그의 풍경화는 대상과 그 대상을 보는 화가 자신의 주관, 그리고 그 모든 것을 그릴 때의 정황 등이 즉흥적으로 어우러지기 때문에, 보기에 따라서는 이일 선생이 지적했듯이 그의 풍경은 여러가지 느낌으로 다가오는 것이다.





"흔히 보았고 보고 싶은 우리의 정경을 시가 있게, 영원히 노래하며 또 보고 싶은 정이 있는 그림."





이 말은 그의 풍경화가 기본적으로 원형을 추구한다는 것을 확인해 주는데 그러면서 또 그는 '색채의 깊고 깊은 맛, 감각적인 표현의 격을 보다'라고 하여 색채의 강렬하면서도 그것이 주는 감각에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다음의 말은 결정적으로 신교수의 작품세계를 이해하는 열쇠라고 본다.





"자연 그대로가 아니면 진실치 못하고 자연 그대로면 언젠가는 실증이 난다. 어떻게하면 자연(사상과 추상)과 같지 않은 다른 자연(구상)을 그대로 보이게 할까."





화가 신범승 교수의 과제는 다름아닌 자연을 이분법적인 시각에서가 아니라 옛날의 동양화가들처럼 둘이면서 하나이고 하나이면서 둘이 되는 그런 세계라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준다.



(글: 박용숙 -미술평론가 / 동덕여대 교수)











(외딴집을 지키는 소나무 : 캔버스에 유채 40.9*31.8)







(소금강 일우 : 캔버스에 유채 78*52 1999)







(단양의 정-민박집 : 캔버스에 유채 78*53)







(봉평에서 : 캔버스에 유채 78*53 1997)







(안면도 꽃지 : 캔버스에 유채 78*53 1998)







(透가 있는 풍경 : 캔버스에 유채 185*118)







(소나무 : 캔버스에 유채 68*38)







(정동진에서 : 캔버스에 유채 78*53 1999)























▒▒ 작가 약력 ▒▒





신범승



1942년생





[학력]



홍익대학교 대학원

국립 HERZEN 사범대 박사 과정 졸업(Ph.D 미술교육학)



동서울대학교 교수역임







[수상]



대한민국미술대전 대상 , 특선3회 (국립현대미술관)

제1회 중앙미술대전 대상, 무감사 2회 (국립현대미술관)

한국미술문화 대상전 대상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교원미술대전 우수상, 최우수상 (한국예총회장상)

제1회 단원예술제 초대작가상 (아름다운운동중앙회)

2004 충청북도 미술대전 초대작가상 (충청북도미술협회)

2008 최우수 작가상 (한국전통문화예술진흥협회)

대한민국 국민훈장 석류장 (대통령)







[심사위원 역임 및 운영위원 역임]



한국무역회관 조형물선정

대한민국 미술대전

서울미술 대상전

무등미술대전

대한민국 회화대전

대한민국 수채화대전

대한민국 여성미술대전

한국수채화공모전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전시]



(사)한국미술협회 회원전(1973~現)

한국현대미술 신기회 회원전(1974~現)

(사)한국수채화협회 회원전(1978~ 現)

(사)서울미술협회 회원전(2005~現))

동락전,재경 충북작가회전, 일상전, 한.일 현대미술 시점전,

파리 국제미술위원회 한국회원전, 서울교우회전, 동림전(1976~現)



제1회 장락회 회원전 (조선일보 미술관)

제1회 한국 누드화 12인전 (예일화랑)

POSCO의 사계전 (포스코갤러리)

서울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대한민국 수채화 초대작가전 (광주시립미술관)

MADRID ENCUENTRO EN DOS CULTURAS (스페인 TOISON갤러리)

UZBEK공화국 독립기념 한국작가 초대전 (우즈벡 중앙박물관)

하나로갤러리 개관기념 한국현대미술 초대전 (하나로 갤러리)

한국 빛깔의 신비 초대전 (프랑스 미로 미술관)

예술의 전당 개관기념 한국현대미술전 (서울 예술의 전당)

경인미술관 개관기념 초대전 (경인 미술관)

흙과 물의 감성 초대전 (이천문화회관)

서울신문사 신춘 서양화 초대전 (서울갤러리)

90 한국수채화 정예작가 초대전 (부산 아트 뱅크)

1970년대 한국미술-국전과 민전-초대전 (서울 예술의전당)

부산 비엔날레 기념 아시아 수채화대전 (부산문화회관)

88 대한민국 회화제 (서울시립미술관)

화가의 30년 그 아름다운 변화 -소장품전- (서울 예술의전당)



외 수십회 전시개최





[작품소장]



동서울레스피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예술의전당,한국문화예술위원회,한국은행, 동국대박물관, 서울시 교원 연수원, 포스코, 동서울대학, 옛날옥션, 한국 수자원공사, 금강산 금강훼미리호텔, 청주지방검찰청, 충주시립남한강수석관, 광진정보도서관, 서초여자고등학교, 기당미술관, 동숭미술관, 동양투자금융





[현재]



동서울대학 명예교수

서울미술협회, 한국미술협회 자문위원

서울특별시 미술장식품 심의위원회 위원



 


출처[(주)포털아트(www.porart.c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